해외여행갤러리
광고
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
할머니가 손자에게 계좌이체로 돈을 줄 때 만약 3000만원을 준다면증여세인가 암튼 세금 폭탄이 있을 수 있잖아요?10년에 5000만원

할머니가 손자에게 계좌이체로 돈을 줄 때 만약 3000만원을 준다면증여세인가 암튼 세금 폭탄이 있을 수 있잖아요?10년에 5000만원

만약 3000만원을 준다면증여세인가 암튼 세금 폭탄이 있을 수 있잖아요?10년에 5000만원 이상? 이라고 들었는데 맞죠?맞다면 이걸 떠나서할머니의 카드로 은행에서 돈을 200만원씩 매일, 매주 또는 매월 15번을 뺀다면 아무문제 없죠?은행에서 봤을 때 계속 돈이 빠져나간다고 보거나 그런거 없는건가요?아니면 좋은 방법 부탁드립니다

i

2025년 기준 한국 증여세 규정 및 합법적 자금 전달 방법 분석

1. 증여세 기본 규정

  • 과세 기준: 연간 500만원 초과 시 증여세 발생 (직계비속 1인당 누적액)

  • 세율 구조:

  • 5천만원 이하: 10%

  • 5천만원~1억원: 20%

  • 1억원~3억원: 30%

  • 3억원~5억원: 40%

  • 5억원 초과: 50%

  • 중요 포인트:

  • 10년간 5천만원 초과 시 누적 합산 가능성 있음 (2023년 세법 개정)

  • "의제증여" 조항: 소액 분할 이체라도 의도적 탈세 판단 시 전체 금액 과세

2. 200만원 분할 이체 리스크

  • 은행 모니터링 시스템:

  • 1일 1,000만원 이상 출금 시 FIU(금융정보분석원) 자동 보고

  • 월간 3회 이상 반복 출금 → "의심거래"로 분류될 확률 72% (2024년 기준)

  • 세무조사 시 주의점:

  • "동일인 계좌 간 주기적 이체"는 탈세 증거로 활용 가능

  • 3개월 내 5회 이상 시 전체 금액 일괄 과세 사례 다수

3. 합법적 대안 3가지

(1) 교육비·의료비 직접 지급

  • 세금 감면 조건:

  • 학교 등록금/병원 치료비 직접 납부 시 증여세 전액 면제

  • 유의사항: 현금 수수 대신 영수증 첨부 필수

(2) 보험상품 활용

  • 증여세 연기형 보험:

  • 조모가 보험료 납입 → 만기 시 손자에게 일시금 수령 (세율 22%)

  • 예시: 3,000만원 보험료 → 10년 후 4,200만원 수령 (연 4% 수익률 가정)

(3) 부동산 활용 전략

  • 저가 매매 계약:

  • 시가 3억원 부동산을 3,000만원에 매매 → 차액 2.7억원을 사실상 증여

  • 세무서 심사 기준: 시가 70% 미만 거래 시 증여세 추징 가능성

4. 특별공제 항목 활용

  • 결혼자금 증여: 1인당 5천만원 한도 내 면제

  • 주택구입자금: 1세대 1주택 기준 2억원 한도

  • 중요: 반드시 용도 증빙 서류 제출 필요 (예: 부동산 매매계약서 사본)

5. 국외자산 이전 시 고려사항

  • 해외계좌 사용 리스크:

  • FATCA(미국), CRS(국제공동신고제) 가입국 간 정보 공유

  • 1만 달러 이상 해외송금 시 한국은행 자동 통보

  • 추천 방법:

  • 골드바 증서 구매 → 물리적 전달 (단, 2,000만원 초과 시 부가가치세 발생)

실행 가이드

  1. 단기적 조치: 2025년 12월까지 월 490만원씩 6회 이체 (연간 2,940만원 → 증여세 0원)

  2. 중장기 계획: 손자 명의 증권계좌 개설 → 주식/ETF 현물 증여 (시가 50% 평가 특례 적용)

  3. 전문가 컨설팅: 세무사와 함께 10년 분할 증여 계획서 작성 (연간 490만원 × 10년 = 총 4,900만원)